개발 블로그
8강 변수 본문
8.1. 변수의 정의
변수Variable : 그 값이 변할 수 있는 문자(수학적 용어)
- 왜 자바에서는 변수에 데이터 타입을 넣어줘야 하는가?
Trade off와 관련됨
다른 값이 들어오면 아예 컴파일 되지 않음
꺼낼 때 마다 정수인지 문자열인지 일일이 확인할 필요가 없어짐
다른 사람이 봤을 때도 변수에 어떤 데이터가 있는지 어디에 쓰이는지 바로 알아 볼 수 있다
Int // Number -> integer정수
Double // real number -> double 실수
String // 문자
8.2. 변수의 효용
미래의 내가 보는 코드 ,남이 보게 될 코드 이므로
코드의 의미를 빨리 파악할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해야한다
그때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가 변수다
변수 ; 값의 이름을 부여하는 것
좋은 이름을 써야한다 의미를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어야 함
8.3. 데이터 타입의 변환(casting) - 지금은 이해 안돼도 ok
변수의 값의 데이터타입을 다른 데이터타입으로 컨버팅 하는 것 converting
정수1 ->실수1.1은 손실이 없어서 가능
실수1.1 -> 정수1은 0.1만큼 손실이 생겨서 오류 발생
-> Convert 해줘야 됨
Double a = 1; //가능 손실이 없으니
Int c = 1.1; //0.1만큼 손실이 생겨서 에러
Int e = (int)1.1; 이라고 써야됨 -> converting
'코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nclude 파일 (0) | 2021.12.16 |
---|---|
JSP / querystring &위치 주의 (0) | 2021.12.11 |
이클립스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에러 (0) | 2021.08.19 |
6강 문자열의 표현, 문자열 다루기 (0) | 2021.08.18 |
생활코딩 WEB2 CSS (0) | 2021.04.21 |
Comments